728x90
반응형
🟢 1. 현재 디스크/볼륨 상태 확인
1️⃣ 디스크 파티션 구조 확인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sda 8:0 0 400G 0 disk
├─sda1 8:1 0 500M 0 part /boot
├─sda2 8:2 0 500M 0 part /boot/efi
├─sda3 8:3 0 99G 0 part
│ ├─rl-root 253:0 0 90G 0 lvm /
│ └─rl-swap 253:1 0 9G 0 lvm [SWAP]
└─sda4 8:4 0 300G 0 part
└─rl-root 253:0 0 90G 0 lvm /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sda 8:0 0 400G 0 disk
├─sda1 8:1 0 500M 0 part /boot
├─sda2 8:2 0 500M 0 part /boot/efi
├─sda3 8:3 0 99G 0 part
│ ├─rl-root 253:0 0 90G 0 lvm /
│ └─rl-swap 253:1 0 9G 0 lvm [SWAP]
└─sda4 8:4 0 300G 0 part
└─rl-root 253:0 0 90G 0 lvm /
2️⃣ LVM 상태 확인
pvs # 물리 볼륨 확인
vgs # 볼륨 그룹 확인
lvs # 논리 볼륨 확인
vgs # 볼륨 그룹 확인
lvs # 논리 볼륨 확인
🟢 2. 파티션 확장 (필요시)
가상 환경(VMware, KVM, Hyper-V) 사용 중이라면:
- VM에서 가상 디스크 용량을 먼저 늘려야 함
- 예: VMware에서 Edit Settings → Hard Disk → Size 증가
- 이후 OS에서 인식
디스크 재스캔
#echo 1 > /sys/class/block/sdX/device/rescan
또는
#partprobe
🟢 3. 기존 LVM 파티션에 공간 추가
fdisk 또는 parted 사용해 새 파티션 생성 → LVM용으로 설정.
1️⃣ 새 파티션 생성
#fdisk /dev/sda
명령어 흐름:
- n → 새 파티션
- 기본값 Enter
- 원하는 용량 선택 후 Enter
- t → LVM 타입 (8e)
- w → 저장 후 종료
2️⃣ LVM PV로 초기화
#pvcreate /dev/sdaX # 새로 만든 파티션
3️⃣ VG에 PV 추가
#vgextend <VG이름> /dev/sdaX
🟢 4. 논리 볼륨(LV) 확장
현재 root 파티션 (예: /dev/rl/root)에 추가 용량 할당:
#lvextend -l +100%FREE /dev/rl/root
🟢 5. 파일 시스템 확장
Rocky Linux 8.x 기본은 XFS 파일 시스템이므로:
#xfs_growfs /
ext4 사용 중이라면:
#resize2fs /dev/rl/root
🟢 6. 결과 확인
#df -h lvs
정상적으로 용량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리눅스 리뷰 > Rocky Linux 8'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cky Linux 8.10: OpenSSL 및 OpenSSH 최신 버전 설치 가이드 (0) | 2025.04.20 |
---|---|
Rocky Linux 8.10에서 9.x로의 주요 변경 사항 (0) | 2025.04.02 |
Rocky Linux 8.10 최소 모드에서 제한되는 주요 명령어 (0) | 2025.04.02 |
Rocky Linux 8.10 최소 모드: 특징과 장단점 정리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