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PP는 두 대의 컴퓨터가 직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할 때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에 사용하는 프로토콜로서, 특히 전화회선을 통해 서버에 연결하는 PC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는 시리얼라인에 인터넷용 프로토콜인 TCP/IP를 싣기 위해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제정한 표준 규약이다. 본래 PPP는 컴퓨터의 TCP/IP 패킷들을 포장해서 그것들이 실제로 인터넷으로 보내질 수 있도록 서버로 달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다른 프로토콜도 동시에 전송이 가능하므로 멀티 프로토콜을 필요로 하는 라우터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PPP는 IP를 사용하며, 때로 TCP/IP 프로토콜군(群)의 하나로 간주되며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참조모델과 비교하면 제2계층에 해당하는 데이터링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단일 링크 상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계층용 프로토콜 사용이 가능하며,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PPP는 비동기식통신뿐 아니라 동기식 통신까지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전에 사실상의 표준이었던 SLIP(Serial Line Internet Protocol)보다 낫다고 평가되고 있다. 또한 PPP는 다른 사용자와 하나의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SLIP에는 없는 기능인 에러검출 기능까지 가지고 있다.
출처 : 시사상식사전
반응형
'용어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icker fusion frequency (0) | 2023.09.05 |
---|---|
직렬 회선 인터넷 통신 ( Serial Line Internet Protocol, SLIP ) (0) | 2023.08.16 |
토큰 링 (Token Ring) (0) | 2023.08.16 |
CUPS ( Common Unix Printing System ) (0) | 2023.07.31 |
에지 컴퓨팅 ( edge computing ) (0)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