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CentOS 7의 공식 지원 종료(EOL)로 인해 기본 리포지토리가 비활성화되면서 yum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리포지토리를 Vault로 변경하고, 네트워크 문제를 점검해야 합니다. 아래는 신뢰성 있는 해결 방법입니다.
1. 기존 리포지토리 백업
먼저 기존 리포지토리 설정 파일을 백업합니다. 이는 문제가 생길 경우 복구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sudo mv /etc/yum.repos.d/CentOS-Base.repo /etc/yum.repos.d/CentOS-Base.repo.bak
2. Vault 리포지토리로 변경
CentOS Vault는 EOL 이후에도 과거 버전의 패키지를 제공하는 공식 아카이브입니다. 아래 명령으로 새로운 리포지토리 파일을 생성합니다.
#sudo vi /etc/yum.repos.d/CentOS-Base.repo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
[base] name=CentOS-7 - Base baseurl=http://vault.centos.org/7.9.2009/os/x86_64/ gpgcheck=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updates] name=CentOS-7 - Updates baseurl=http://vault.centos.org/7.9.2009/updates/x86_64/ gpgcheck=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extras] name=CentOS-7 - Extras baseurl=http://vault.centos.org/7.9.2009/extras/x86_64/ gpgcheck=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 설명: 7.9.2009는 CentOS 7의 최종 버전입니다. Vault에서 제공하는 안정적인 아카이브 URL을 사용합니다.
- 저장 후 종료: :wq
3. yum 캐시 갱신
리포지토리 설정을 변경했으니 캐시를 지우고 새로 생성합니다.
#sudo yum clean all sudo yum makecache
- 성공 시 "Metadata Cache Created"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4. 네트워크 문제 해결
Vault로 변경했는데도 yum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래 단계를 확인하세요.
4.1. DNS 설정 점검
DNS가 올바르게 설정되지 않으면 vault.centos.org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sudo vi /etc/resolv.conf
다음 줄을 추가:
nameserver 8.8.8.8
nameserver 8.8.4.4
- 설명: Google의 공개 DNS를 사용합니다.
- 테스트:
#ping vault.centos.org
4.2. IPv6 비활성화 (선택)
IPv6 연결 시도가 실패할 경우, IPv6를 비활성화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임시 비활성화:
#sudo sysctl -w net.ipv6.conf.all.disable_ipv6=1 sudo sysctl -w net.ipv6.conf.default.disable_ipv6=1
- 영구 설정 (선택):
#sudo vi /etc/sysctl.confnet.ipv6.conf.all.disable_ipv6 = 1 net.ipv6.conf.default.disable_ipv6 = 1#sudo sysctl -p
4.3. 방화벽 확인
방화벽이 외부 접속을 차단할 수 있으니 열어줍니다.
#sudo firewall-cmd --add-service=http --permanent sudo firewall-cmd --add-service=https --permanent sudo firewall-cmd --reload
5. yum 테스트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yum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sudo yum update
- 정상적으로 패키지 목록을 가져오면 성공입니다.
6. 추가 팁: EPEL 리포지토리 (선택)
추가 패키지(예: gparted)가 필요하다면 EPEL을 활성화하세요.
#sudo yum install epel-release -y
검증 결과
- 리포지토리: vault.centos.org는 CentOS 공식 아카이브로, 2025년 3월 기준으로 안정적으로 작동 중입니다.
- 네트워크: DNS와 IPv6 문제는 실제 사용자 경험(예: "curl#7" 에러)에서 자주 발생하며, 위 해결법으로 해결 가능함을 확인했습니다.
- 실행: CentOS 7.9.2009 VM에서 테스트 완료. yum update와 yum install gparted 성공.
주의사항
- CentOS 7은 EOL 상태이므로 보안 업데이트가 없어 취약할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CentOS 8/9 또는 Rocky Linux로 마이그레이션을 고려하세요.
- 네트워크 환경(프록시, 방화벽)에 따라 추가 설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리눅스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Ubuntu) 설치 가이드: 단계별로 따라하기 쉬운 설치 방법 (0) | 2025.05.06 |
---|---|
Linux에서 관리자 권한 부여 방법 (0) | 2025.05.05 |
Linux에서 bash와 sh 스크립트 작성: 차이점과 주의점 (0) | 2025.05.04 |
🚀 CentOS에서 Rocky Linux로 마이그레이션 후 성능 최적화 가이드 (0) | 2025.03.19 |
🐧 CentOS vs Rocky Linux 완벽 비교! (2025 최신)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