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벡터(distance-vector) 라우팅 중 가장 오래된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로, UDP/IP 상에서 동작한다.
본문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로, 인터넷 상의 자율시스템(Autonomous System) 내에서 라우팅을 수행하는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IGP)로 사용된다. RIP는 경유할 수 있는 모든 라우터를 그 라우터까지 거치게 되는 라우터의 수를 나타내는 홉(hop) 수로 수치화 하고, 거리 벡터 알고리즘(DVA)이라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이 수치화 값(메트릭, metric)들을 동적으로 교환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갱신한다. 라우팅 테이블은 목적 네트워크 주소, 다음 홉의 IP 주소, 목적 네트워크까지의 홉 수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유효 경로를 저장하고 있다. RIP는 이와 같이 인접 호스트와 동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며 패킷이 목적 네트워크 주소에 도달할 때까지의 최단 경로를 결정한다. 또한 유효 경로를 2개까지 채용하여 동일한 홉 경로가 있는 경우 우선 경로를 제어하는 방법을 취한다.
경로 계산 알고리즘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라우터에 걸리는 부하가 적으며, 성능이 낮은 라우터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다른 라우터와 정보 교환을 할 때 브로드캐스트(broadcast)를 사용하기 때문에 라우팅 테이블 전송을 위해 트래픽 부하가 늘어나기 쉬우며, 지원 가능한 최대 홉 수가 15개이기 때문에 16개부터는 지원 불가능하여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이 부적절하다. 또한 고정된 시간마다 라우팅 테이블이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상태 변화가 실제 네트워크 변화에 비해 느릴 수 있다.
출처 : 두산백과 두피디아
'용어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GMP (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 (0) | 2023.07.25 |
---|---|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 ) (0) | 2023.07.24 |
서브넷 (Subnet) (0) | 2023.07.21 |
강도율 (0) | 2023.07.12 |
도수율 (0)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