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Windows 7 사용자들 사이에서 골칫거리인 nProtect 관련 BSOD(Blue Screen of Death), 특히 에러 코드 0x000000C2 (BAD_POOL_CALLER) 문제를 다룹니다. Windows 7은 2020년에 지원이 종료되었지만, 레거시 게임 팬들이 여전히 사용 중이죠. 하지만 nProtect의 커널 드라이버가 이 오래된 OS에서 치명적인 충돌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10월 17일 새벽 한국 전국에서 대규모 블루스크린 대란이 발생해 병원, 약국, 식당, 기업 등 다양한 업종에서 광범위한 피해가 보고되었습니다. 이 최신 사례를 포함해 포럼, Reddit, Steam 커뮤니티에서 보고된 내용을 바탕으로 이슈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블루스크린으로 고생 중이시라면, 이 포스트를 끝까지 읽어보세요!
BSOD 0x000000C2란?
**0x000000C2 (BAD_POOL_CALLER)**는 시스템이 잘못된 메모리 풀 요청을 감지했을 때 발생하는 블루스크린 에러입니다. nProtect의 경우, 이 에러는 주로 커널 레벨 드라이버 (dump_wmimmc.sys, npptNT2.sys)가 Windows 7의 메모리 관리와 충돌하면서 발생합니다.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생 시점: 부팅 직후 또는 게임 실행 시 GameGuard 로딩 중 블루스크린.
- 주요 원인 드라이버: dump_wmimmc.sys 또는 npptNT2.sys.
- 영향: 게임 크래시, 시스템 재부팅, 심하면 부팅 실패.
nProtect와 Windows 7의 충돌
nProtect (GameGuard 또는 Online Security v1.0)는 온라인 게임(Special Force, Blackshot, Helldivers 2 등)의 안티치트 소프트웨어로, 커널 레벨에서 작동해 강력한 보안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Windows 7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문제가 됩니다:
- 지원 종료 OS: Windows 7은 2020년 1월 지원 종료로 최신 드라이버 호환성이 떨어짐.
- 커널 드라이버 충돌: nProtect의 구버전(v1.0)은 Windows 7의 구형 커널(NT 6.1)과 충돌.
- 잔여 파일: nProtect 제거 후에도 드라이버 파일이 남아 BSOD 유발.
최근(2024~2025년) 보고에 따르면, Helldivers 2의 2024년 2월 업데이트 이후 0x000000C2 에러가 급증했으며, AMD CPU/GPU 사용자에게 더 빈번히 나타났습니다. 특히 2025년 10월 17일 한국 대란은 nProtect Online Security v1.0의 호환성 문제로 추정됩니다.
최근 이슈 사례 (2024~2025)
포럼, Reddit, Steam 커뮤니티와 한국 뉴스에서 수집한 최신 사례를 정리했습니다. 특히 2025년 10월 17일 한국 사태를 최우선으로 추가했습니다:
| 2025-10-17 | 컴닥터/네이트 뉴스, 다음 뉴스, 국민일보 | 한국 전국 윈도우7 PC 블루스크린 대란 | 새벽부터 부팅 직후 BSOD 0x000000C2 발생. 병원·약국·기업 등 광범위 피해. nProtect Online Security v1.0과 Win7 커널 충돌 원인. 안전모드(F8)로 삭제 권장. 문의 폭주 중. | 
| 2024-02-21 | Reddit (r/Helldivers) | Helldivers 2 실행 중 0x000000C2 | nProtect 로딩 중 BSOD, dump_wmimmc.sys 관련. | 
| 2024-03-12 | Tom's Hardware Forum | Special Force에서 0x000000C2 | npptNT2.sys와 ntoskrnl.exe 충돌. | 
| 2024-04-19 | Reddit (r/Helldivers) | GameGuard 제거 후에도 BSOD 지속 | 잔여 드라이버로 0x000000C2 반복. | 
| 2025-08-14 | GeekstoGo Forum | Blackshot 실행 후 0x000000C2 | GameGuard 자동 설치로 BSOD 발생. | 
2025년 10월 17일 사태는 한국 내 Windows 7 사용자에게 특히 치명적이었으며, PC 유지보수 업체 '컴닥터'가 무상 복구를 안내 중입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OS 업그레이드 논의가 다시 불붙었습니다.
원인 분석
0x000000C2 에러는 nProtect의 드라이버가 Windows 7의 메모리 풀을 잘못 처리할 때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호환성 문제: nProtect의 구버전(v1.0)은 Windows 7의 구형 커널(NT 6.1)을 고려하지 않음.
- 메모리 관리 오류: dump_wmimmc.sys가 잘못된 메모리 풀 요청을 보내 BSOD 유발.
- 드라이버 잔재: nProtect 제거 후에도 npptNT2.sys가 시스템에 남아 충돌. 10월 17일 대란처럼 부팅 시 자동 로드로 동시다발 발생.
해결 방법
0x000000C2 에러를 해결하려면 다음 단계를 시도하세요. 주의: 시스템 파일 수정은 위험하니 백업 필수! 특히 10월 17일 사태 피해자라면 컴닥터의 무상 지원을 이용하세요.
1. nProtect 완전 제거 (10월 17일 대란 추천 방법)
- 안전 모드 부팅: 부팅 시 F8 키 연타로 안전 모드 진입.
- 프로그램 삭제: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nProtect Online Security v1.0' 또는 GameGuard 삭제.
- 공식 언인스톨러 사용: nProtect FAQ에서 언인스톨러 다운로드.
- 레지스트리 정리 (고급 사용자):
- regedit 실행.
-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에서 npptNT2 또는 GameGuard 관련 키 삭제.
 
- 시스템 파일 검사: 명령 프롬프트(관리자)에서 sfc /scannow 실행 후 재부팅.
2. 드라이버 및 시스템 패치
- 구형 GameGuard 파일 교체: 게임 폴더의 gameguard.des를 Windows 7 호환 버전(2009년대 배포)으로 교체.
- 네트워크 드라이버 업데이트: Realtek 또는 기타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최신으로 유지.
- Windows 업데이트: KB4474419 등 최신 Win7 패치 설치 (지원 종료로 제한적).
3. 임시 우회 방법
- HDD로 게임 이동: SSD에서 실행 시 BSOD가 빈번하다는 보고 있음.
- 안티바이러스 비활성화: Kaspersky, Avast 등과 nProtect 충돌 가능성 있음.
- 안전 모드 부팅: BSOD 반복 시 안전 모드로 부팅해 드라이버 삭제.
4. 근본 해결: Windows 10/11 업그레이드
Windows 7은 더 이상 보안 패치나 드라이버 지원을 받지 않습니다. Windows 10/11로 업그레이드하면 nProtect 호환성이 개선되고 BSOD 위험이 줄어듭니다. 업그레이드가 어렵다면:
- 가상 머신 사용: VMware로 Win7 환경을 격리 실행.
- 클라우드 게이밍: GeForce Now로 문제 게임 실행.
'윈도우즈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악성코드 파일이 치료되지 않는 원인과 해결 방법 (0) | 2025.09.08 | 
|---|---|
| 윈도우 계정 조회 시 미일치 발생 원인 및 조치 가이드 (1) | 2025.08.18 | 
| 코파일럿 로그인 창 없애는 방법 (1) | 2025.06.13 | 
| Windows Server 2008 SP2 SHA-2 적용 가이드 (0) | 2025.05.03 | 
| 2025년 나라별 웹 브라우저 점유율 비교와 추천 (0) | 2025.04.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