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리뷰/Proxmox
Proxmox VE 설치 가이드: 가상화 환경 구축을 위한 완벽 안내
StWorld
2025. 3. 15. 21:03
728x90
반응형
Proxmox VE는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으로, KVM과 LXC를 기반으로 VM(가상 머신)과 컨테이너를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Proxmox VE를 설치하고 기본 설정을 완료하는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설치 전 준비사항
Proxmox VE를 설치하기 전에 아래 준비 과정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1.1. 하드웨어 요구 사항
- CPU: 64비트 프로세서 (Intel VT-x 또는 AMD-V 가상화 지원 필수)
- RAM: 최소 2GB (운영체제용) + VM/컨테이너별 추가 메모리
- 스토리지: 최소 8GB 이상의 디스크 공간 (SSD 권장)
- 네트워크: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개 이상
- 권장 사양: VM을 많이 돌릴 계획이라면 16GB 이상 RAM과 멀티코어 CPU 추천
1.2. 필요한 도구
- Proxmox VE ISO 파일: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버전 다운로드
- USB 드라이브 또는 CD/DVD: ISO를 기록할 매체 (최소 4GB 용량)
- ** Rufus 또는 Etcher**: USB에 ISO를 기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 인터넷 연결: 설치 후 업데이트 및 패키지 다운로드용 (선택 사항)
1.3. 사전 확인
- BIOS/UEFI에서 가상화 설정(VT-x/AMD-V)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기존 데이터 백업: Proxmox는 설치 시 디스크를 포맷하므로 중요한 데이터가 있다면 백업하세요.
2. Proxmox VE ISO 준비 및 부팅
2.1. ISO 기록
- Proxmox 공식 사이트에서 ISO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 Rufus(Windows)나 Etcher(Mac/Linux)를 실행합니다.
- USB 드라이브를 연결하고,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선택한 뒤 "시작" 또는 "Flash" 버튼을 눌러 기록합니다.
2.2. 부팅 설정
- 대상 서버에 USB를 삽입합니다.
- 서버를 재부팅하고 BIOS/UEFI에 진입합니다. (보통 F2, Del, 또는 F12 키)
- 부팅 순서를 USB로 변경하거나, 부팅 메뉴에서 USB를 선택합니다.
- 저장 후 재부팅하면 Proxmox 설치 화면이 나타납니다.
3. Proxmox VE 설치 과정
설치 화면이 나타나면 아래 단계를 따라 진행하세요.
3.1. 설치 시작
- "Install Proxmox VE" 옵션을 선택하고 Enter를 누릅니다.
- EULA(사용자 라이선스 계약)가 표시되면 "I agree"를 체크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3.2. 디스크 선택
- 설치 대상 디스크를 선택합니다. (기본값은 시스템의 첫 번째 디스크)
- 필요 시 "Options"를 눌러 파일 시스템(ZFS, ext4 등)이나 파티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주의: 선택한 디스크는 포맷되므로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3.3. 국가 및 키보드 설정
- 시간대(Timezone), 언어, 키보드 레이아웃을 설정합니다.
- 한국 사용자는 "Asia/Seoul"과 "Korean"을 선택하세요.
3.4. 네트워크 설정
- 관리 인터페이스용 네트워크를 설정합니다.
- IP 주소: 정적 IP 추천 (예: 192.168.1.100)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게이트웨이: 라우터 IP (예: 192.168.1.1)
- DNS 서버: 8.8.8.8 (Google DNS) 또는 로컬 DNS 입력
3.5. 관리자 계정 설정
- 이메일: 관리자 알림을 받을 이메일 주소 입력
- 비밀번호: 루트(root) 계정 비밀번호 설정 (강력한 비밀번호 권장)
3.6. 설치 진행
- 모든 설정을 확인한 뒤 "Install" 버튼을 누릅니다.
- 설치 과정은 하드웨어에 따라 5~15분 정도 소요됩니다.
- 완료 후 "Reboot"를 선택해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4. 설치 후 초기 설정
4.1. 웹 인터페이스 접속
- 브라우저를 열고 https://[설정한 IP]:8006으로 접속합니다.
- 예: https://192.168.1.100:8006
- 보안 경고가 나타나면 "고급" > "계속 진행"을 선택합니다.
- 로그인 창에서:
- 사용자: root
- 비밀번호: 설치 시 설정한 비밀번호
- Realm: PAM
4.2. 시스템 업데이트
- 웹 인터페이스에서 좌측 트리 메뉴의 서버 이름을 선택합니다.
- 상단 메뉴에서 "Updates" > "Refresh"를 클릭해 패키지 목록을 갱신합니다.
- 업데이트가 있다면 "Upgrade" 버튼을 눌러 최신 상태로 유지합니다.
4.3. 네트워크 확인
- "System" > "Network"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필요 시 브리지(vmbr0)를 추가해 VM용 네트워크를 구성합니다.
5. 추가 팁
5.1. ISO 업로드
- VM 설치를 위해 ISO 파일이 필요합니다.
- "Datacenter" > "Storage" > 로컬 스토리지 선택 > "Content" > "ISO Images"에서 업로드하세요.
5.2. VM 생성
- 우측 상단 "Create VM" 버튼을 클릭합니다.
- 이름, CPU, RAM, 디스크 크기 등을 설정하고, 업로드한 ISO를 연결해 VM을 설치합니다.
5.3. 방화벽 설정
- 기본 방화벽은 비활성화 상태입니다. 필요 시 "Datacenter" > "Firewall"에서 활성화하세요.
6. 문제 해결
- 설치 중 디스크 인식 실패: BIOS에서 AHCI 모드를 확인하거나 드라이브 연결을 점검하세요.
- 웹 인터페이스 접속 불가: IP 주소와 포트(8006)를 다시 확인하고, 방화벽 설정을 체크하세요.
- 업데이트 오류: /etc/apt/sources.list에 올바른 저장소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