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리뷰

무선 메쉬 네트워크 ( Wireless Mesh Network, WMN )

StWorld 2023. 7. 25. 13:45
728x90
반응형

장소와 시간을 뛰어넘어 언제 어디서든지 다자간 접속을 가능케 하는 “무선 메시 네트워크”가 건설과 IT간 융 · 복합 시대의 차세대 핵심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Wireless Mesh Network을 간단히 줄여서 “WMN”이라고도 한다. WMN은 U-City 민간서비스는 물론 초고층 빌딩, 대운하 사업까지 적용될 전망이다.

기존 무선랜 만으로 한계가 있었던 초고층 빌딩 내 데이터 교신이나 유 · 무선망 설치가 녹록치 않은 지역에서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들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WMN이 적용된 대표적인 국내 · 외 사례로는 해운대 · 청계천의 U-서비스, 버즈 두바이 등이 있으며, 특히 아랍에미리트 버즈 두바이 프로젝트 공사현장에서 지휘본부와 500m 높이의 타워크레인 공사현장 간 데이터 교신을 가능케 해 주목을 받았다.

해외에선 최근 1~2년 새 인도 뭄바이, 마케도니아, 케냐 등 동남아와 아프리카, 중국 등 유선 인프라가 열악한 국가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필라델피아 등 미국의 많은 도시도 WMN을 이용한 U-City를 구축하고 있다.

WMN은 우선 이동성은 물론 전송속도와 확장성, 신뢰성 측면에서 블루투스 등 유사기술과 기존 이동통신기술에 비해 월등하다는 평가이다.

특히 기존 이동통신 기술은 제한된 대역폭과 고가의 구축비용으로 저렴한 고품질의 이동 데이터 서비스가 어렵고 이동 중에 접속이 끊기거나 넓은 광역망을 가지기 위해 모든 유선망을 끌어들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WMN은 고가의 송신탑이나 기지국마다 유선망을 끌어들일 필요가 없어 전체적 망 구성비용이 저렴할 뿐 아니라 고속이동 중에도 이음새 없이 각종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적은 출력을 이용해 무선망을 확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졌다.

자가망 구성(Self-forming) 기능, 자가 치료(Self-healing) 기능, 자체 균형(Self-balancing) 기능 등을 통해 낮은 오버헤드로 고성능 라우팅 구현이 가능하며 링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히나 기존 무선랜 방식은 break-before-make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나 WMN은 make-before-break 개념으로 끊김 없는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출처 :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반응형